자녀가 어릴 때부터 자산을 증여해주고 싶은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할 때는 반드시 ‘증여세’라는 세금을 고려해야 하죠.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의 세금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성년 자녀는 증여세법상 10년 동안 최대 2,000만 원까지는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을 초과하는 증여가 이루어질 경우, 초과된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만 10세 자녀에게 3,000만 원을 증여하면, 2,000만 원까지는 공제되지만 나머지 1,000만 원에 대해서는 세율이 적용됩니다.
증여세는 누진세 구조를 따릅니다. 즉, 증여액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에게 5,000만 원을 증여하면,
2,000만 원은 공제되고 나머지 3,000만 원에 대해 10% 세율이 적용되어
약 300만 원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네, 가능합니다.
부모가 각각 증여할 경우 부모 1인당 2,000만 원씩 총 4,000만 원까지 비과세 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로 자금이 부모 양쪽에서 따로 나왔다는 근거가 있어야 하며,
국세청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계좌 추적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는 단순히 돈을 주는 일이 아닙니다.
세법과 절차를 잘 지켜야 세금 폭탄을 피하고, 자녀의 자산 형성도 안전하게 도울 수 있습니다.
사전 증여계획과 세무 상담을 통해 똑똑한 자산 이전을 실천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