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 증여하면 얼마까지 세금 없이 가능할까?

카테고리 없음

by 경제 공부하는 차차 2025. 4. 14. 09:15

본문

반응형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 증여하면 얼마까지 세금 없이 가능할까?

자녀가 어릴 때부터 자산을 증여해주고 싶은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할 때는 반드시 ‘증여세’라는 세금을 고려해야 하죠.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미성년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의 세금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미성년자 증여 시 비과세 한도는?

미성년 자녀는 증여세법상 10년 동안 최대 2,000만 원까지는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을 초과하는 증여가 이루어질 경우, 초과된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만 10세 자녀에게 3,000만 원을 증여하면, 2,000만 원까지는 공제되지만 나머지 1,000만 원에 대해서는 세율이 적용됩니다.

✅ 2. 증여세율은 어떻게 되나요?

증여세는 누진세 구조를 따릅니다. 즉, 증여액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 1억 원 이하: 10%
  • 1억 초과 ~ 5억 이하: 20%
  • 5억 초과 ~ 10억 이하: 30%
  • 10억 초과 ~ 30억 이하: 40%
  • 30억 초과: 50%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에게 5,000만 원을 증여하면,
2,000만 원은 공제되고 나머지 3,000만 원에 대해 10% 세율이 적용되어
약 300만 원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 3. 부모 각각에게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부모가 각각 증여할 경우 부모 1인당 2,000만 원씩 총 4,000만 원까지 비과세 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로 자금이 부모 양쪽에서 따로 나왔다는 근거가 있어야 하며,
국세청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계좌 추적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4. 주의해야 할 점

  • 미성년 자녀 명의의 통장이나 증권계좌를 만들고 자산을 이체한 뒤,
    그 자산을 부모가 관리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실질 소유자’ 문제로 과세될 수 있습니다.
  • 미성년자 명의로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고가의 재화를 소유하게 되면
    출처조사나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 5. 절세 팁은 없을까?

  • 증여 시기를 10년 단위로 나누어 분산하면 공제한도를 여러 번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부모가 각각 증여하고, 조부모까지 동원하면 최대 6,000만 원까지도 가능합니다.
  • 금액이 크다면 전문 세무사의 도움을 받아 계획적인 증여 설계를 추천드립니다.

✍️ 마무리하며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는 단순히 돈을 주는 일이 아닙니다.
세법과 절차를 잘 지켜야 세금 폭탄을 피하고, 자녀의 자산 형성도 안전하게 도울 수 있습니다.
사전 증여계획과 세무 상담을 통해 똑똑한 자산 이전을 실천해보세요!

반응형